<듀프 소비 순서>
1. 듀프 소비 뜻
2. 듀프 소비 사례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비즈니스 기회
1. 듀프 소비 뜻
24년 11월 기준으로 경제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듀프란 영단어 'Duplication'을 줄인 말이다.
이 단어는 복제, 모조를 뜻 한다.
즉, 듀프란 특정 기능이나 디자인은 비싼 브랜드와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저렴한 대안 제품을 의미한다.
레플리카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으나 엄연히 다르다.
레플리카는 아예 명품 브랜드의 최대한 모든 걸 카피하려고 하며 브랜드 로고도 해당 명품 브랜드꺼가 박혀 있다.
반대로 듀프의 경우 겉으로 표시되는 브랜드는 다르지만 그 외에 모든 것을 최대한 카피하려고 하는 것.
명품 브랜드 짝퉁을 사느니 차라리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를 버리고 가성비로 비슷한 제품을 택하는 소비가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관건은 최대한 비싼 브랜드 제품의 품질과 기능을 따라가는 지를 보고 구매한다는 것이다.
특히 뷰티 쪽일 경우 색조 화장품의 색상 싱크로율이 100%에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구입한다.
2. 듀프 소비 사례
1) '저렴이' 버전을 찾는 화장품 업계
듀프 소비의 제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화장품 업종이다.
원래도 가성비를 따지면서 소비하는 고객들은 ㅇㅇㅇ '저렴이'를 검색해서 구매해왔다.
대표적으로 샤넬 립앤치크밤 저렴이 버전 손앤박 아티스프레드 컬러밤이 있다.
두 제품의 가격 차이는 약 20배에 달하는데 색상이 거의 비슷해서 가성비 추구 고객들은 손앤박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뷰티 분야에서 듀프 소비 효과를 제대로 누리는 기업은 바로 다이소.
2) 패션 분야, 명품의 분위기까지 따라가는 SPA
원래도 SPA 브랜드 자라 zara 의 경우 프라다 느낌 신발, 샤넬 느낌 트위드 등으로 화제가 되어왔다.
아예 디자인을 100% 따라할 수 없으니 최대한 분위기라도 비슷하게 연출해서 출시하는 것이다.
비슷한 전략을 아예 콜라보 기획 제품으로 내놓는 유니클로의 사례도 있다.
르메르맛이라는 단어로 화제가 된 유니클롤의 경우 크리스토퍼 르메르 출신 디자이너 클레어 웨이트와 협업한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3) 전자제품 분야, 대륙의 실수 샤오미
전자제품은 원래 가격대가 꽤 나가는 제품군이다.
하지만 샤오미의 경우 애플, 다이슨과 같은 고가 브랜드 전자제품과 비슷한 성능의 제품을 선보인다.
샤오미의 워치, 청소기 같은 제품들은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아서 '차이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수익화 기회
1) 화장품, 패션, 전자제품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 찾아서 SNS로 알리기
3개 분야 모두 처음 도전하는 초보라면 무난하게 화장품 쪽이 듀프 소비 제품 찾기가 수월하다.
일단 화장품 분야 명품 브랜드인 샤넬, 디올 등의 색조 제품들을 정리해본다. (립, 칙, 아이셰도우 등)
특히 사람들에게 크게 유행했던 컬러 위주로 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성비 화장품 브랜드를 찾아보면서 최대한 비슷한 컬러를 발견해내는 것이다.
물론 듀프 소비하는 고객들은 품질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유해 성분이 얼마나 있는지도 체크해야 한다.
(요즘은 화장품 성분 분석하는 어플이 잘 나와 있다.)
만약에 발견에 성공했다면 해당 주제로만 SNS를 운영해도 팔로워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구독을 안 해주더라도 영상에 쿠팡이나 알리의 제휴 판매 링크를 연결한다면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새로운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을 기획, 런칭해보자
이 케이스의 경우 은근 난이도가 있지만 그만큼 진입장벽도 높은 것이니 도전에 성공한다면 블루오션이 될 것이다.
능력이 된다면 악세사리, 식품 쪽으로 높은 가격대로 형성된 브랜드를 조사해본다.
그리고 디자인이나 맛이 거의 비슷한 제품을 좀 더 저렴하게 내놓는다면 듀프 소비 고객을 공략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 100% 똑같이 따라할 수 없더라도 얼추 비슷하게 내놓으면 괜찮다.
어차피 더 낮은 금액을 지불하는 고객들은 그런 걸 감안하고 구매하기 때문이다.
'돈 되는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트렌드 흐름 예측하기 [돈 되는 아이디어 3탄] (4) | 2024.11.14 |
---|---|
IT 트렌드 읽는 습관 에서 얻은 인사이트 (5) | 2024.11.12 |
찐따 외로움 극복방법 타켓으로 한 IT 서비스 발전 흐름 [돈되는 아이디어 2탄] (8) | 2024.11.10 |
추리 게임 을 매장에 접목시킨 강남 일상 비일상의 틈 사례 / 우리 매장에도 적용해본다면? [돈 되는 아이디어 1탄] (2) | 2024.11.08 |
<듀프 소비 순서>
1. 듀프 소비 뜻
2. 듀프 소비 사례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비즈니스 기회
1. 듀프 소비 뜻
24년 11월 기준으로 경제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듀프란 영단어 'Duplication'을 줄인 말이다.
이 단어는 복제, 모조를 뜻 한다.
즉, 듀프란 특정 기능이나 디자인은 비싼 브랜드와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저렴한 대안 제품을 의미한다.
레플리카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으나 엄연히 다르다.
레플리카는 아예 명품 브랜드의 최대한 모든 걸 카피하려고 하며 브랜드 로고도 해당 명품 브랜드꺼가 박혀 있다.
반대로 듀프의 경우 겉으로 표시되는 브랜드는 다르지만 그 외에 모든 것을 최대한 카피하려고 하는 것.
명품 브랜드 짝퉁을 사느니 차라리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를 버리고 가성비로 비슷한 제품을 택하는 소비가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관건은 최대한 비싼 브랜드 제품의 품질과 기능을 따라가는 지를 보고 구매한다는 것이다.
특히 뷰티 쪽일 경우 색조 화장품의 색상 싱크로율이 100%에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구입한다.
2. 듀프 소비 사례
1) '저렴이' 버전을 찾는 화장품 업계
듀프 소비의 제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화장품 업종이다.
원래도 가성비를 따지면서 소비하는 고객들은 ㅇㅇㅇ '저렴이'를 검색해서 구매해왔다.
대표적으로 샤넬 립앤치크밤 저렴이 버전 손앤박 아티스프레드 컬러밤이 있다.
두 제품의 가격 차이는 약 20배에 달하는데 색상이 거의 비슷해서 가성비 추구 고객들은 손앤박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뷰티 분야에서 듀프 소비 효과를 제대로 누리는 기업은 바로 다이소.
2) 패션 분야, 명품의 분위기까지 따라가는 SPA
원래도 SPA 브랜드 자라 zara 의 경우 프라다 느낌 신발, 샤넬 느낌 트위드 등으로 화제가 되어왔다.
아예 디자인을 100% 따라할 수 없으니 최대한 분위기라도 비슷하게 연출해서 출시하는 것이다.
비슷한 전략을 아예 콜라보 기획 제품으로 내놓는 유니클로의 사례도 있다.
르메르맛이라는 단어로 화제가 된 유니클롤의 경우 크리스토퍼 르메르 출신 디자이너 클레어 웨이트와 협업한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3) 전자제품 분야, 대륙의 실수 샤오미
전자제품은 원래 가격대가 꽤 나가는 제품군이다.
하지만 샤오미의 경우 애플, 다이슨과 같은 고가 브랜드 전자제품과 비슷한 성능의 제품을 선보인다.
샤오미의 워치, 청소기 같은 제품들은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아서 '차이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수익화 기회
1) 화장품, 패션, 전자제품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 찾아서 SNS로 알리기
3개 분야 모두 처음 도전하는 초보라면 무난하게 화장품 쪽이 듀프 소비 제품 찾기가 수월하다.
일단 화장품 분야 명품 브랜드인 샤넬, 디올 등의 색조 제품들을 정리해본다. (립, 칙, 아이셰도우 등)
특히 사람들에게 크게 유행했던 컬러 위주로 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성비 화장품 브랜드를 찾아보면서 최대한 비슷한 컬러를 발견해내는 것이다.
물론 듀프 소비하는 고객들은 품질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유해 성분이 얼마나 있는지도 체크해야 한다.
(요즘은 화장품 성분 분석하는 어플이 잘 나와 있다.)
만약에 발견에 성공했다면 해당 주제로만 SNS를 운영해도 팔로워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구독을 안 해주더라도 영상에 쿠팡이나 알리의 제휴 판매 링크를 연결한다면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새로운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을 기획, 런칭해보자
이 케이스의 경우 은근 난이도가 있지만 그만큼 진입장벽도 높은 것이니 도전에 성공한다면 블루오션이 될 것이다.
능력이 된다면 악세사리, 식품 쪽으로 높은 가격대로 형성된 브랜드를 조사해본다.
그리고 디자인이나 맛이 거의 비슷한 제품을 좀 더 저렴하게 내놓는다면 듀프 소비 고객을 공략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 100% 똑같이 따라할 수 없더라도 얼추 비슷하게 내놓으면 괜찮다.
어차피 더 낮은 금액을 지불하는 고객들은 그런 걸 감안하고 구매하기 때문이다.
'돈 되는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트렌드 흐름 예측하기 [돈 되는 아이디어 3탄] (4) | 2024.11.14 |
---|---|
IT 트렌드 읽는 습관 에서 얻은 인사이트 (5) | 2024.11.12 |
찐따 외로움 극복방법 타켓으로 한 IT 서비스 발전 흐름 [돈되는 아이디어 2탄] (8) | 2024.11.10 |
추리 게임 을 매장에 접목시킨 강남 일상 비일상의 틈 사례 / 우리 매장에도 적용해본다면? [돈 되는 아이디어 1탄] (2) | 2024.11.08 |
<듀프 소비 순서>
1. 듀프 소비 뜻
2. 듀프 소비 사례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비즈니스 기회
1. 듀프 소비 뜻
24년 11월 기준으로 경제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듀프란 영단어 'Duplication'을 줄인 말이다.
이 단어는 복제, 모조를 뜻 한다.
즉, 듀프란 특정 기능이나 디자인은 비싼 브랜드와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저렴한 대안 제품을 의미한다.
레플리카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으나 엄연히 다르다.
레플리카는 아예 명품 브랜드의 최대한 모든 걸 카피하려고 하며 브랜드 로고도 해당 명품 브랜드꺼가 박혀 있다.
반대로 듀프의 경우 겉으로 표시되는 브랜드는 다르지만 그 외에 모든 것을 최대한 카피하려고 하는 것.
명품 브랜드 짝퉁을 사느니 차라리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를 버리고 가성비로 비슷한 제품을 택하는 소비가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관건은 최대한 비싼 브랜드 제품의 품질과 기능을 따라가는 지를 보고 구매한다는 것이다.
특히 뷰티 쪽일 경우 색조 화장품의 색상 싱크로율이 100%에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구입한다.
2. 듀프 소비 사례
1) '저렴이' 버전을 찾는 화장품 업계
듀프 소비의 제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화장품 업종이다.
원래도 가성비를 따지면서 소비하는 고객들은 ㅇㅇㅇ '저렴이'를 검색해서 구매해왔다.
대표적으로 샤넬 립앤치크밤 저렴이 버전 손앤박 아티스프레드 컬러밤이 있다.
두 제품의 가격 차이는 약 20배에 달하는데 색상이 거의 비슷해서 가성비 추구 고객들은 손앤박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뷰티 분야에서 듀프 소비 효과를 제대로 누리는 기업은 바로 다이소.
2) 패션 분야, 명품의 분위기까지 따라가는 SPA
원래도 SPA 브랜드 자라 zara 의 경우 프라다 느낌 신발, 샤넬 느낌 트위드 등으로 화제가 되어왔다.
아예 디자인을 100% 따라할 수 없으니 최대한 분위기라도 비슷하게 연출해서 출시하는 것이다.
비슷한 전략을 아예 콜라보 기획 제품으로 내놓는 유니클로의 사례도 있다.
르메르맛이라는 단어로 화제가 된 유니클롤의 경우 크리스토퍼 르메르 출신 디자이너 클레어 웨이트와 협업한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3) 전자제품 분야, 대륙의 실수 샤오미
전자제품은 원래 가격대가 꽤 나가는 제품군이다.
하지만 샤오미의 경우 애플, 다이슨과 같은 고가 브랜드 전자제품과 비슷한 성능의 제품을 선보인다.
샤오미의 워치, 청소기 같은 제품들은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아서 '차이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수익화 기회
1) 화장품, 패션, 전자제품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 찾아서 SNS로 알리기
3개 분야 모두 처음 도전하는 초보라면 무난하게 화장품 쪽이 듀프 소비 제품 찾기가 수월하다.
일단 화장품 분야 명품 브랜드인 샤넬, 디올 등의 색조 제품들을 정리해본다. (립, 칙, 아이셰도우 등)
특히 사람들에게 크게 유행했던 컬러 위주로 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성비 화장품 브랜드를 찾아보면서 최대한 비슷한 컬러를 발견해내는 것이다.
물론 듀프 소비하는 고객들은 품질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유해 성분이 얼마나 있는지도 체크해야 한다.
(요즘은 화장품 성분 분석하는 어플이 잘 나와 있다.)
만약에 발견에 성공했다면 해당 주제로만 SNS를 운영해도 팔로워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구독을 안 해주더라도 영상에 쿠팡이나 알리의 제휴 판매 링크를 연결한다면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새로운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을 기획, 런칭해보자
이 케이스의 경우 은근 난이도가 있지만 그만큼 진입장벽도 높은 것이니 도전에 성공한다면 블루오션이 될 것이다.
능력이 된다면 악세사리, 식품 쪽으로 높은 가격대로 형성된 브랜드를 조사해본다.
그리고 디자인이나 맛이 거의 비슷한 제품을 좀 더 저렴하게 내놓는다면 듀프 소비 고객을 공략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 100% 똑같이 따라할 수 없더라도 얼추 비슷하게 내놓으면 괜찮다.
어차피 더 낮은 금액을 지불하는 고객들은 그런 걸 감안하고 구매하기 때문이다.
'돈 되는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트렌드 흐름 예측하기 [돈 되는 아이디어 3탄] (4) | 2024.11.14 |
---|---|
IT 트렌드 읽는 습관 에서 얻은 인사이트 (5) | 2024.11.12 |
찐따 외로움 극복방법 타켓으로 한 IT 서비스 발전 흐름 [돈되는 아이디어 2탄] (8) | 2024.11.10 |
추리 게임 을 매장에 접목시킨 강남 일상 비일상의 틈 사례 / 우리 매장에도 적용해본다면? [돈 되는 아이디어 1탄] (2) | 2024.11.08 |
<듀프 소비 순서>
1. 듀프 소비 뜻
2. 듀프 소비 사례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비즈니스 기회
1. 듀프 소비 뜻
24년 11월 기준으로 경제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듀프란 영단어 'Duplication'을 줄인 말이다.
이 단어는 복제, 모조를 뜻 한다.
즉, 듀프란 특정 기능이나 디자인은 비싼 브랜드와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저렴한 대안 제품을 의미한다.
레플리카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으나 엄연히 다르다.
레플리카는 아예 명품 브랜드의 최대한 모든 걸 카피하려고 하며 브랜드 로고도 해당 명품 브랜드꺼가 박혀 있다.
반대로 듀프의 경우 겉으로 표시되는 브랜드는 다르지만 그 외에 모든 것을 최대한 카피하려고 하는 것.
명품 브랜드 짝퉁을 사느니 차라리 브랜드 로고의 이미지를 버리고 가성비로 비슷한 제품을 택하는 소비가 듀프 소비이다.
여기서 관건은 최대한 비싼 브랜드 제품의 품질과 기능을 따라가는 지를 보고 구매한다는 것이다.
특히 뷰티 쪽일 경우 색조 화장품의 색상 싱크로율이 100%에 수렴하는지 확인하고 구입한다.
2. 듀프 소비 사례
1) '저렴이' 버전을 찾는 화장품 업계
듀프 소비의 제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화장품 업종이다.
원래도 가성비를 따지면서 소비하는 고객들은 ㅇㅇㅇ '저렴이'를 검색해서 구매해왔다.
대표적으로 샤넬 립앤치크밤 저렴이 버전 손앤박 아티스프레드 컬러밤이 있다.
두 제품의 가격 차이는 약 20배에 달하는데 색상이 거의 비슷해서 가성비 추구 고객들은 손앤박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뷰티 분야에서 듀프 소비 효과를 제대로 누리는 기업은 바로 다이소.
2) 패션 분야, 명품의 분위기까지 따라가는 SPA
원래도 SPA 브랜드 자라 zara 의 경우 프라다 느낌 신발, 샤넬 느낌 트위드 등으로 화제가 되어왔다.
아예 디자인을 100% 따라할 수 없으니 최대한 분위기라도 비슷하게 연출해서 출시하는 것이다.
비슷한 전략을 아예 콜라보 기획 제품으로 내놓는 유니클로의 사례도 있다.
르메르맛이라는 단어로 화제가 된 유니클롤의 경우 크리스토퍼 르메르 출신 디자이너 클레어 웨이트와 협업한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3) 전자제품 분야, 대륙의 실수 샤오미
전자제품은 원래 가격대가 꽤 나가는 제품군이다.
하지만 샤오미의 경우 애플, 다이슨과 같은 고가 브랜드 전자제품과 비슷한 성능의 제품을 선보인다.
샤오미의 워치, 청소기 같은 제품들은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아서 '차이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3. 듀프 소비 문화에서 찾는 수익화 기회
1) 화장품, 패션, 전자제품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 찾아서 SNS로 알리기
3개 분야 모두 처음 도전하는 초보라면 무난하게 화장품 쪽이 듀프 소비 제품 찾기가 수월하다.
일단 화장품 분야 명품 브랜드인 샤넬, 디올 등의 색조 제품들을 정리해본다. (립, 칙, 아이셰도우 등)
특히 사람들에게 크게 유행했던 컬러 위주로 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성비 화장품 브랜드를 찾아보면서 최대한 비슷한 컬러를 발견해내는 것이다.
물론 듀프 소비하는 고객들은 품질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유해 성분이 얼마나 있는지도 체크해야 한다.
(요즘은 화장품 성분 분석하는 어플이 잘 나와 있다.)
만약에 발견에 성공했다면 해당 주제로만 SNS를 운영해도 팔로워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구독을 안 해주더라도 영상에 쿠팡이나 알리의 제휴 판매 링크를 연결한다면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새로운 분야에서 듀프 소비 제품을 기획, 런칭해보자
이 케이스의 경우 은근 난이도가 있지만 그만큼 진입장벽도 높은 것이니 도전에 성공한다면 블루오션이 될 것이다.
능력이 된다면 악세사리, 식품 쪽으로 높은 가격대로 형성된 브랜드를 조사해본다.
그리고 디자인이나 맛이 거의 비슷한 제품을 좀 더 저렴하게 내놓는다면 듀프 소비 고객을 공략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 100% 똑같이 따라할 수 없더라도 얼추 비슷하게 내놓으면 괜찮다.
어차피 더 낮은 금액을 지불하는 고객들은 그런 걸 감안하고 구매하기 때문이다.
'돈 되는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트렌드 흐름 예측하기 [돈 되는 아이디어 3탄] (4) | 2024.11.14 |
---|---|
IT 트렌드 읽는 습관 에서 얻은 인사이트 (5) | 2024.11.12 |
찐따 외로움 극복방법 타켓으로 한 IT 서비스 발전 흐름 [돈되는 아이디어 2탄] (8) | 2024.11.10 |
추리 게임 을 매장에 접목시킨 강남 일상 비일상의 틈 사례 / 우리 매장에도 적용해본다면? [돈 되는 아이디어 1탄] (2) | 2024.11.08 |